감정적으로는, 절대로 용서할 수 없는 일본이지만,
그래도, 가장 부러운것이 있다면,
그 동네에서 나오는 풍부한 난초를 보고 있을 때입니다,
그리 넓지않는 국토이지만, 남북으로 길게 바다로 둘러쌓인 섬나라이기에,
종류가 다양한 동 식물들이 터전을 잡고, 그 가운데 단연 으뜸인 난초의 보고인 나라,
천형의 땅에 터를 잡고 있는 나라인 고로, 누 천년을 이어오면서, 대륙에 발판을 마련하고자,
호시탐탐 기회만을 엿보는, 가장 가까우면서도, 가장 믿을 수 없는 나라,
지난, 친일 교과서 파동때도 표출된 사실이지만,
일제 36년동안, 이 나라를 통치하면서 심어놓은 간자들이, 아직도 이 나라를 주무르고 있어,
친일파 청산과 아울러, 절대로 경계를 늦추지 말아야 할 나라이지만,
수 없이 산출되는 많은 난초들을 볼 때마다 부러운 생각이 드는 것은,
한 사람의 난초 애호가로서는 어쩔 수 없는 모양입니다,ㅎㅎㅎㅎ,
아래의 그림들은,
십 수년 전, 직접 구입한 책(이름이 기억나지 않을 정도로 오래됨)에서 스켄을 떠서,
그림판으로 처리하면서 새로 설명을 붙여서 만들어둔 사진들이라,
제가 일상쓰는 한문이 많이 씌여있는데,
이제와서 다시 수정하려니 너무 시간이 많이 걸릴것 같아 그대로 올리면서,
그림밑에 이름만 써 놓겠습니다,
보시는 분들의 많은 이해 있으시기를,.....
사진과 글씨가 작아서 잘 보이지 않으신다면, 위의 매뉴모음 텝에서 보기를 클릭하시고,
150%로 확대해 보시면 될 것입니다,
일본풍란 검용입니다,
일본풍란 경하
고천수복륜
고천수 호
공작환
안마울두
국휘전,
귀면각
귀모전
귀보청
귀운각
금각복륜
보금중반
금공작
금광금
금두
금루각
금루각 호
금목단 백호
금사묵
금성복륜
금유황
금은라사
기린환호
기주갑룡
남해설호
랑화사자
일본풍란 이름의 앞이나 끝에 "사자**" 나, "**사자" 가 붙으면 잎사귀가 꼬이는 품종입니다,
狂葉이라고도 하지요,
농감여엽
단정무
당금
대강환호
대동환
대파청해
대파청해 호
대팔주
대풍귀
도우이중과 어기
****도우이중 병어기,.... 도우이중이라는 품종에서 어기라는 품종으로 변이가 되는 과정에서, 두 품종이 하나의 뿌리로 묶여있는 형태를 일본식으로 이름하여 도우이중병어기라 부릅니다,****************
동천홍
동출도
라사복륜
라사홍룡
라인지광
록보
능금
만월
무명
이하는 당시까지 아직 이름이 없었던 품종들입니다,
묵류
묵취
백모단
백봉
백왕복륜
백운각
백호 (호피반 품종입니다,)
보검
보금
보금중반
보묵
보생전
보선
보울두
봉
봉황전
사자갑룡
눈설미 있으신 분들은 , 여기까지 읽어 내려오시면서,
난 이름이 가나다 순으로 되어있는 것을 알 수 있으셨을 텐데요, 사실은,
사진이 흐리거나, 사진상에 남에게 보이고 싶지 않는 글들이 적혀있는 사진은 빼고 올리다 보니,
대략 10분의 1정도만 올렸는데 이 정도나 많답니다,
사진없이 이름만 알고 있는 종류도 대략 500종류가 넘는데,
나머지는 시간이 나는데로 올려보도록 하지요,ㅎㅎㅎㅎ,
그리고,.....
가정에서 풍란 기르는데 있어서, 제가 항상 경계하는 것은,
무분별한 목, 석부작인데요,
공중습도 50~60% 이상을 요구하는 풍란이라, 습도가 20~30%의 가정에서는
거의 절대라 할 만큼, 목, 석부작 만들어 키우기는 어렵습니다,
인터넷에서 떠도는 이미지는 거의 전문적으로 키우는 사람들이거나 장사꾼들인지라,
그런 이미지만 보시고 혹 하셔서, 목,석부작 만들었다가 아까운 생명 죽이지 마시고,
위의 사진처럼 풍란 전용 화분 구하셔서 이끼로 감싸서 기르시는 것이
그나마 가정에서 풍란 키우시는 유이한 길입니다,
다른 한 방법은, 가운데가 빈 통나무 위에 심고,
비어있는 공간에 다른 식물키우면서 습도를 제공해 주는 방법이있는데,
전 글, 목부작 2를 찾아보십시오,
매화분재 소재목, 종자용 땅콩(흑땅콩 포함), 돼지감자, 토란 필요하신 분 게시면,
왼쪽 카테고리, 판매글 클릭하십시오,
풍란과 춘란에 관한 글과 사진은, 난향만리에 계속됩니다,
'난향만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춘란(난초의 고전) (0) | 2014.03.29 |
---|---|
풍란 2 (종류도 다양한 일본풍란, 전 장에 이어서,) (0) | 2014.02.11 |
난초값이 똥값되었다, (0) | 2014.01.04 |
목부작 2 (0) | 2013.11.14 |
춘란,(보춘화) 중투의 위엄,(한국) (0) | 2013.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