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에 제 블로그를 돌아보신 분께 전화 한 통을 받았군요,
내용인 즉,
자생 보춘화나 일본춘란은 있어도, 정작,
난초의 고전이랄 수 있는 중국춘란은 보이지 않는다고,........ㅎㅎㅎㅎ,
사실은, 저도,
일본춘란의 화려한 엽예품과 화예품에 길들여져서,
비록 그림으로는 볼 수 없을 지라도, 난초하면 떠오르는 향기를 도외시하고 있었는데,
아래에서 보이는 중국춘란들은,
모두들 향기의 유무를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선발된 품종들이기에,
비록 현재의 시각으로만 본다면, 수수하기 그지없을 지라도,
그윽한 향기가 나는 중국춘란들입니다,
중국은 그 국토가 넓은만큼, 춘란이라는 이름 아래에도 수많은 아종의 품종들이
제 각각의 독특함을 자랑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나 일본에서는 도저히 찾기힘든, 일경구화(전체의 난초들 중에서,
꽃대 한개에 여러송이의 꽃이 피는 종류를 통칭하지만, 여기서는 춘란에 한하여 입니다,)들도 많고,
아주 특이하게, 한란과 춘란의 자연교배 종류인, 춘한란이라는 독특한 종류도 있지요,
(이 종류에 대하여 항상 의문인 점이라면,
한란과 춘란의 꽃피는 시기가 다른데, 어떻게 자연교배종이 될 수 있을 까? 하는 점인 데,
일단, 전문가들이 그렇다고 하니 그런가 보다,.... 합니다,ㅎㅎㅎㅎ,)
비록 사진도 몇 장 되지않거니와 스켄을 잘못떠서 약간 어리버리한 사진들이고 또 한,
신품종들은 없고 오래된 고전적인 품종들이지만,
고전이 있기에 현대가 있는 것, 아래의 고전적인 품종들이 없었다면,
지금의 동양 3국의 난초들도 없었을 것이라 생각하시면서 보시기 바랍니다,
특히나, 우리나라의 난초만을 고집하는 분들이나, 요즘 들어서 늦게 막차를 타신 분들 중에서는,
변이난초의 명칭조차도 모르고, 입에서 나오는 대로 마구잡이로 불러데는데,
아래의 설명글이, 전체적인 난초용어들 중에서 구우일모에 불과할 지라도,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중국춘란 가륭입니다,
사진 설명에, 수선판이라는 글자가 있는데, 연유는,
중국춘란의 화판은 세 분류로 나뉘는데,
수선화꽃처럼 생긴 수선판, 매화꽃처럼 둥글게 생긴 매판, 화판이 아래로 쳐진 하화판이 그것입니다,
중국춘란 일경구화, 극품입니다,
사진 옆에 빨강색 글씨로 써 있는 녹경, 적경, 소심등의 용어는,
중국춘란 일경구화 품종들을 분류 설명할 때, 부르는 명칭들이지요,
꽃대만 녹색이면 녹경, 적색이 조금이라도 가미되면 적경,
꽃대와 꽃이 전체적으로 녹색이나 백색이면 소심으로 분류합니다,
중국춘란 일경구화 금오소 입니다,
이름끝에, 힐 素 자가 붙은 것은 소심(素心)이라는 뜻입니다,
중국춘란, 일경일화 하화판의 대부귀입니다,
우리의 보춘화처럼, 꽃대 한대에 꽃이 한개만 피는 품종인데,
이 품종의 특이점이라면, 짧은 꽃대에 꽃의 크기가 대단히 큽니다,
중국춘란 록영인 데,
화판은, 그림으로 보기에는 매판으로 보입니다 만,
이 품종을 키워 본 지가 너무 오래되어서 기억이 가물가물합니다,
그림설명 뒤의 "대여의설"이라 함은, 설판이 아래로 휘어져 들어가지 않은 형태를 말하지요,
위의 부수춘은,
중국춘란에서는 드물게 보이는 복륜복색화입니다,
복륜복색화란, 잎 가의무늬가 백색이 아닌 다른 색깔을 띠고 있을 때 붙이는 명칭이지요,
홍용자와 여호접은 화변이로, 난초꽃이 정상적인 꽃잎이 아닌 기종이며,
노문단소는 소심입니다, 중국춘란에는 특히나 향기가 나는 소심이 많습니다,
중국춘란, 서신매입니다,
이름끝에 "매화 梅" 자가 붙은것을 보니, 매판입니다,
여호접과 노문단소는 위에 설명드렸기에 불요하며,
오봉은, 보기드문 홍경사화로 보입니다,
춘설은 제 기억으로는, 잎 넓이가 보통보다 더 가늘은 품종인데 이 품종도 소심입니다,
일경구화 록경소심, 온주소 입니다,
일경일화 왕자입니다,,
글씨가 작고 흐려서 잘 보이지 않지만,
난초꽃잎의 명칭을 설명한 그림입니다,
아시고 싶은 분은 확대해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비두에 검붉은 얼룩이 보인다 하여, 적경입니다, 이름은 최매,
이처럼, 아무리 꽃대가 잡색이 들어있지 않더라도, 다른부위에서 조금이라도 잡색이 보이면,
최고의 격인 소심에는 들어가지 못하고 탈락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단엽종으로 불리는, 잎 길이가 짧은 취개입니다,
저도 오래도록 길러 본 품종중의 하나인데,
군락으로 심어놓으면 보기 좋지요,
일경일화, 취일품입니다,
중국춘란 중의 유명한 품종중의 하나인 환구하정이군요,
수 년전, 이 품종에서 잎에 무늬가 든 품종이 발견되었고,
가격또한 어마어마하게 거래된 것을 잡지에서 본 기억이 나는데,
잎변이 품종이 아닌, 위 그림의 품종은 그리 비싸지는 않지만,
중국춘란 중에서는, 상당히 비싼 종중의 하나이지요,
중국춘란 일경일화 만자입니다,
일경구화인 여의소 입니다,
소심종류이지요,
중국춘란 분류 계통도인 데,
눈 밝으신 분들만 보시라고 올렸습니다,
중국춘란의 계통과 변이종, 화판의 분류가 한눈에 보이니까요,
사실,
위의 중국춘란의 사진들이 몇 장 더 있기는 하지만,
요즘처럼 입이나 눈이 순간적으로만 줄거우면 되는 세상에서는
아무리 올려보았자, 보시는 분들도 별로 없을 것같아서 그만 두었는데,
글 서두에 쓴 대로, 난에 관심있어 전화까지 주신, 한분만이라도 보시라고 올렸습니다,
'난향만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과 일본춘란의 모든것 2편,(1편에 이어서) (0) | 2014.04.27 |
---|---|
한국과 일본춘란의 모든것(1편) (0) | 2014.04.10 |
풍란 2 (종류도 다양한 일본풍란, 전 장에 이어서,) (0) | 2014.02.11 |
풍란(종류도 다양한 일본풍란들,) (0) | 2014.01.20 |
난초값이 똥값되었다, (0) | 2014.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