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작두콩을 검색해서 들어오신 분께는 죄송한 말씀인데요,
이 페이지의 글은, 작두콩에 대한 글이 아니고 선작두콩에 대한 내용입니다,
선작두콩에 대해 모르시는 분들이 많아서 검색하시는 분들이 거의 없을 것으로 생각되어,
앞부분에 작두콩을 올렸지만, 어차피 선작두콩도 작두콩과 같은 개체에서 돌연변이로 생겨난 것이므로,
들어오신 김에 모두 읽어보셔도 시간낭비는 아닐 것이라 생각하면서,
지금부터는 선작두콩에 대한 이야기를 올릴 것이니
자신과는 상관없는 글 같으면, 이만 퇴장하셔도 됩니다,ㅎㅎㅎㅎ
사실 저도 선작두콩 종자에 대해서 알았던 시기는, 그리 오래되지 않은 올해 봄이었습니다,
전부터 모종 거래해 오신 분이, 선작두콩 모종 구할 수 없을까? 하고 전화하신 바람에 알게 되었는데요,
전화를 끊고서, 오래전부터 작두콩 종자를 거래해 오던 대단위 농장에 문의해 봤는데도 모르겠답니다,
당연한 것이, 해마다 상당한 량의 작두콩 모종을 다루는 사람도 모르고 있었는데,
농사만 짓는 분들이 알 수 있는 내용은 아니었을 것입니다, 하여,
인터넷을 검색해 본 결과, 선작두콩을 재배하는 내용의 글을 올린 블로거는 쉽게 찾을 수 있었지만,
정작 구입하려고 보니 판매하는 사람이 없었습니다,
몇 군데나 전화를 걸어 본 결과, 종자는 구하지 못한 대신에 심고 남은 모종을 몇 포기만 구입할 수 있었는데요,
그 과정에서, 앞 전 아래 링크에서 올린 사기를 당하기도 했지만, 결과적으로는 선작두콩 종자도 얻게 되었습니다,
작두콩과 선작두콩 2부
작두콩과 선작두콩(일명, 앉은뱅이작두콩) (daum.net) 작두콩과 선작두콩(일명, 앉은뱅이작두콩) 인터넷으로 작두콩 모종을 판매한 지 10여 년이 가까운 동안, 선작두콩이란 이름 자체를 들어보지
blog.daum.net
선작두콩을 키우면서 새로이 발견한 사실은, 비록 선작두콩이라는 이름은 처음 들어봤지만,
이미 오래 전부터, 수 없이 많은 작두콩 모종 만드는 과정에서 가끔씩 출연했던 개체였다 는 것과,
이 품종은 선작두콩(일명, 앉은뱅이작두콩)이라는 공식 품종 명을 가진 것이 아니고,
일반 넝쿨성 작두콩을 키우던 사람들이, 몇 백이나 몇 천 개 중 한 두 개 정도 왜성종으로 돌연변이한 개체를
따로 심어 수확한 후에, 선작두콩이라는 이름으로 인터넷 상에서만 거래가 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비록 거래되는 량은 극소수지만 이 품종의 좋은 점이라면, 넝쿨성이 아닌 직립이라 지지대가 필요 없다 는 것과
위의 첫번째 사진 설명에서 보이듯이, 왜성종이라 해서 종자 길이가 짧은 것도, 종자 숫자가 적은 것도 아니고, 다만,
크기 면에서 조금 작다 는 것뿐 다른 것은 모두 동일한데요, 더 좋은 점이라면,
일반 넝쿨성 작두콩에 비해서 숙기가 빨라, 5월 20일 정도에 심는다 해도 완전하게 익은 종자를 수확할 수 있고,
추위에 비교적 강해서, 어제 날짜인 11월 13일까지 노지에서도 푸르름을 잃지 않고 있던데요,
전체적인 수확량도 넝쿨성 작두콩보다 더 많다 는 사실을 안다면,
이 분야에 종사하신 분들은 그냥 지나치기 어려운 매력이라 할까요? 다만, 거름이 많은 흙에서는
숙기가 상당히 늦은 면이 보이고, 거름기가 부족하면 전혀 열매가 달리지 않은 개체들도 가끔은 있으나,
전체적인 수확량은 넝쿨성보다 더 많다 는 것은 사실입니다, 물론,
의학적인 분야는 제가 완전 무식이라, 작두콩이나 선작두콩 모두 어떤 방향으로 효과가 있는지는 모르지만,
어차피 같은 종자에서 발생한 개체라면, 선작두콩도 일반 작두콩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짐작만 하는데요,
이 모종이 필요하신 분은 미리 저에게 전화 주시기 바랍니다,
아래 사진의 내년에 모종만들기 위해서 확보한 작두콩 중,
오른쪽 붉은색 원 안 쪽 자잘한 것이 선작두콩이고, 전체 개수가 겨우 2000개도 못된 숫자라
혹여나 주문이 몰린다면, 원하시더라도 구입하지 못하실 수도 있을 것이니까요,
문의전화, 010-4646-4734
농장명, 운천지화(雲川之花)
'귀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양홍매의 비극 (0) | 2021.12.03 |
---|---|
소나무 접목하시는 분을 모십니다 (0) | 2021.11.30 |
야콘수확과 심는 시기와 방법 (0) | 2021.11.13 |
올 겨울 추위는 얼마나 강할까? (0) | 2021.11.11 |
왕토란(식용) 보관하는 방법 (0) | 2021.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