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케번디시바나나3

바나나 꽃이 피었습니다 귀농한 지 3년 만에 처음으로, 우리가 일반적으로 수입해서 먹는 케번디시 바나나가 열매를 맺었습니다. 케번디시는 처음이지만, 오래전부터 몽키나 핑크벨벳바나나들은 꽃을 피우고 수확까지 봤는데요. 가장 중요한 것은, 이제껏 가온을 하지 않고도 열매를 보았다 는 점입니다. 제 자신 수익과는 전혀 상관없는 취미생활을 위해서, 한 두 푼도 아닌 기름값을 지출할 능력이 안되었기에. 수십 번 생각한 끝에 특유의 방법으로 시공된 비닐하우스 덕분인데요. 일단 앞으로 가을철이 되려면 상당한 시일이 남았기에, 결과에 대한 기대가 큽니다. 이 바나나 품종은 일반 케번디시와는 다르게 키가 상당히 작은 왜성종에 속하는데요. 일반 케번디시가 4~5m 정도의 장대한 키를 자랑하지만, 이 품종은 3m 정도로 작기에. 관리하기가 상대적.. 2022. 8. 14.
바나나도 변이종이 생기나? 지구라는 행성에서 살아 숨 쉬는 많은 동식물들은, 같은 개체들과 동일하거나 우성이 아니면 살아남기 힘듭니다, 이유는, 치열한 적자생존의 경쟁에서 기존의 존재보다 열성이라면 먹이경쟁에서 밀린 나머지 멸종의 길로 들어선다고 봐야겠지요, 기존의 존재보다 우성이 태어난다면, 현재의 존재들은 하루아침에 열성이 되는 것은 당연하지만, 이것은 인간을 제외한 다른 동식물들의 상황이고, 약삭빠른 인간들의 경우에는 다른 변수도 생각해 봐야 하는데, 비록 새로운 우성의 유전자를 가진 개체가 태어났다 하더라도 처음에는 극히 소수이기에, 숫자에서 유리한 기존의 개체들이 새로 태어난 우성의 돌연변이종을 멸종시켜버릴 가능성도 있겠습니다, 이렇듯 적자생존의 원칙은 지구라는 행성에서 생명체가 살아 숨 쉬는 마지막 날까지도 적용이 될 .. 2021. 2. 8.
파초를 아시나요? 파초라는 아열대성 식물이 언제적부터 우리나라에 들어와서 둥지를 틀고 살았는지는 모르지만, 조선시대의 그림에서도 파초가 등장하는 것을 보면 꽤나 오래전에 들어왔을 것으로 짐작이 되던데요, 지금은 가 보지 않아서 잘 모르겠는데, 오래전 기억으로는 제주도나 남쪽지방에서 흔.. 2019. 10. 26.